반응형
수동태
반응형
조동사가 사용된 수동태 문장 만들기, 능동 수동 전환 [영어문법풀이 #81]
조동사가 사용된 수동태 문장 만들기, 능동 수동 전환 [영어문법풀이 #81]
2021.07.12이번 시간엔 조동사가 사용된 수동태를 보겠습니다. 수동태, 수동문에 대한 내용은 문법풀이 #74 ~ 에서 다뤘으니까요 보고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구요. 조동사에 대한 내용도 #56 ~ #63 까지 했으니까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조동사는 크게 Auxiliary와 Modal, 이렇게 두 종류로 나뉩니다. 먼저 auxiliary verb 주어 인칭에 따라 s를 붙이고 변하는 조동사로 다양한 시제와 문장 종류를 표현할 때 쓰이곤 하는 단어인데요. 예를 들면 be, have, do 등으로 진행 시제/완료 시제, 의문문, 부정문 등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두 번째로는 modal verb s를 붙이지 않고 항상 그 모습은 고정이면서 뒤에 원형이 오게 하는 단어로 의무, 필요, 가능성, 의도,..
1형식, 2형식 문장에서의 수동태, 능동태 전환 [영어문법풀이 #80]
1형식, 2형식 문장에서의 수동태, 능동태 전환 [영어문법풀이 #80]
2021.07.07지난 시간까지 능동 문장을 수동 문장으로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그 모습은 어떻게 생겼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봤습니다. #78 ~ 79에서는 3~5형식, 그리고 사역, 지각 동사가 쓰였을 때의 모습을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엔 1~2형식에선 어떤 모습인지 간단히 보도록 해볼게요. 일단 수동태는 be + p.p 구조를 가지고 있죠. 이걸 1~2 형식 문장에 적용해서 문장을 바꿔보는 걸 알아볼 거예요. 그런데 일단 1,2 형식 문장은 3~5형식 문장과 많이 다릅니다. 1, 2 형식에는 목적어가 없습니다. 지칭할 수 있는 대상이 오직 ‘주어’ 하나밖에 없죠. 반면에 3, 4, 5형식 문장은 목적어가 있습니다.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에 의해 당하는 대상이 목적어입니다. 3, 4, 5형식 문장..
능동태 문장 수동태로 전환 방법 - 3, 4, 5형식 문장 [영어문법풀이 #78]
능동태 문장 수동태로 전환 방법 - 3, 4, 5형식 문장 [영어문법풀이 #78]
2021.06.29이번 시간엔 능동과 수동 문장을 바꾸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수동태에 대한 내용은 #74~77에서 했으니까요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실생활에서는 굳이 문장 구조를 능동태에서 수동태로 수동태에서 능동태로 바꾸진 않죠 그냥 상황에 따라 능동, 수동으로 표현을 자연스럽게 하곤 합니다. 그런데 학교 시험에는 개념을 위해서 등장을 하는 것 같은데요 그래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볼게요. 일단 능동이라면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고 수동이라면 주어가 어떤 행동을 당하는 것이죠. 능동문을 기준으로 보도록 해볼게요. 능동 문장은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어요. 주어가 자발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는 것과 주어가 어느 대상에게 어떤 행동을 하는 것 대상이 있느냐 없느냐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 자동사? 타동사? [영어문법풀이 #77]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 자동사? 타동사? [영어문법풀이 #77]
2021.05.17지난 시간까지 수동태에 대한 내용을 계속 다뤘었습니다. be + p.p 구조로 당하는 의미를 표현하는 거였죠 그런데 이렇게 be + p.p 구조로 만들 수 없는 단어들이 있는데요 이런 단어들을 보고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라고 부르곤 합니다 이번 시간엔 이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건데요 복잡할 순 있지만 최대한 간단하고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그런데 이 영상은 어떤 단어가 있는지 보는 내신용, 시험용이 아니라 개념을 짚는 위주의 영상입니다. 일단 수동태를 쓰는 이유부터 짚고 넘어가볼게요 일반적으로 문장들은 주어가 무언가를 하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면서 능동 의미를 표현하곤 합니다. 그래서 주어가 받는, 당하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수동태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능동을 표현하는 동사가 갑자기 수동 의미를 표..
get + p.p 수동태, 다양한 전치사, To 부정사의 수동태 [영어문법풀이 #76]
get + p.p 수동태, 다양한 전치사, To 부정사의 수동태 [영어문법풀이 #76]
2021.04.16이번 시간엔 수동태의 다양한 모습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짚어보려고 하는데요. 일단 수동태/수동문에 대한 내용을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은 문법풀이 #74/#75를 먼저 보시고 오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내용은 크게 네 가지예요 1. 전치사 + 명사 by + 명사 내용만 다뤘었는데요 다른 전치사도 사용될 수 있다는 걸 봐볼 거구요 2. 형용사로 알고 있는 단어 예를 들어서 touched, 감동한 / disappointed, 실망한 이런 단어는 그냥 형용사가 아니라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인 과거 분사라서 수동태 구조라는 것과 3. 수동태 모습은 be 동사 + p.p 라고 공부했는데요. be 대신에 get을 사용해서 수동태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 4. To 부정사에서의 수동 이걸 간단히 봐보도록..
수동문장의 12가지 시제, 의문문/부정문, 의문부정 [영어문법풀이 #75]
수동문장의 12가지 시제, 의문문/부정문, 의문부정 [영어문법풀이 #75]
2021.04.07수동태는 조동사 Be와 동사를 준동사인 과거 분사로 변형한 p.p 모습을 합쳐셔 Be + p.p 모습을 가진다고 했습니다. 이번 시간엔 다양한 시제와 의문문, 부정문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 보도록 해볼 거예요 수동 문장을 몇 개만 예를 들어보면 My phone is stolen. 내 핸드폰은 훔쳐진다. Cookies are burnt. 쿠키는 탄다. 이런 식으로 만들 수 있죠. 각각 주어가 훔치는 게 아니고 훔침을 당한 거고 쿠키가 스스로 태운 게 아니라 태움을 당한 거죠. 첫 문장은 is, be 동사와 stolen, steel의 과거 분사형(p.p)로 만들어졌고 두 번째 문장은 are, be 동사와 burnt, burn의 과거 분사형(p.p)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문장들은 각각 is / are 현재 시제..
수동태(be+p.p)와 수동문 뜻과 개념, 만드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4]
수동태(be+p.p)와 수동문 뜻과 개념, 만드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4]
2021.03.31이번 시간엔 수동 문장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동문 또는 수동태라는 이름으로 공부하게 되는 문장의 모습인데요.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그동안 다뤘던 문장들, 그리고 평소에 볼 수 있는 문장들은 대부분 수동 문장과 반대인 능동 문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일단 이 용어부터 간단히 짚어볼게요. 능동은 능할 능 / 움직일 동 수동은 받을 수 / 움직일 동 능동은 스스로 움직임을 행하는 거고 수동은 움직임을 받는 겁니다. 이렇게 어떤 기준이 그 스스로가 하는 거라면 능동 그 기준이 스스로 못하고 받는 입장, 당하는 입장이라면 수동인데요. 문장에서 볼 때 그 기준은 ‘주어’가 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저라는 사람과 이 종이를 가지고 간단히 상황을 만들어볼게요. 상황에 따라서..
의문문, 부정문, 수동문, 강조문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개념 [영어 문법 풀이 #58]
의문문, 부정문, 수동문, 강조문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개념 [영어 문법 풀이 #58]
2020.09.07동사는 그 자체로 현재형/과거형으로만 변형이 가능해서 표현의 한계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영어의 12가지 시제 중 현재시제 과거 지제를 제외한 나머지 10가지 시제를 표현하기 위해서 조동사가 사용된다고 했는데요. 이 조동사를 가지고 단순한 문장, 일반 문장 외에 부정 문장 / 의문 문장 / 수동 문장 / 강조 문장 등을 만들 수도 있게 됩니다. 이번 시간에 이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 거예요. 그리고 Auxiliary verb에 대한 개념은 #55~56에서 했으니까 참고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문장 종류는 정말 다양합니다. 평범하다는 기준도 어떻게 정의내리기는 애매하지만 그냥 ~ 한다. 는 정도 의미를 일반 문장으로 볼 수 있구요. 이 문장을 조동사를 활용해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가 있습니다. ~ 한..
과거 분사의 뜻과 개념 그리고 시제와 수동 표현 [영어 문법 풀이 #41]
과거 분사의 뜻과 개념 그리고 시제와 수동 표현 [영어 문법 풀이 #41]
2019.11.09과거 분사 지난 시간엔 현재 분사에 대한 개념을 짚어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과거 분사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과거 분사도 현재 분사와 마찬가지로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로 형용사 역할을 하게 됩니다. 동사의 의미를 가진 형용사로 쓰이는 거죠. 현재 분사는 동사에 ing를 붙였다면 과거 분사는 동사에 ed를 붙인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하지만 동사에 무조건 ed만 붙이는 게 아닙니다. 과거 분사는 동사에 따라서 d / ed / ied 형태가 되기도하고 불규칙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문법풀이 #27을 확인하시면 되는데요. #24~28 다 확인하시면 전반적으로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동사를 이렇게 분사로 바꿔서 표현하는 이유는 동사 자체로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
동사의 과거 분사 규칙 (past participle, p.p) [영어 문법 풀이 #27]
동사의 과거 분사 규칙 (past participle, p.p) [영어 문법 풀이 #27]
2019.06.23이번 시간엔 동사의 과거형과 비슷한 과거 분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동사를 왜 과거 분사형으로 만드는 걸까요? 그 이유는 동사 그 자체로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시제에는 동사의 현재형 과거 시제에는 동사의 과거형 그런데 완료 시제를 표현할 때는 동사로는 그 시간을 표현할 수 없어서 동사를 과거 분사형으로 만들게 돼요. 그리고 동사 그 자체로는 능동 표현밖에 못하는데요 be 동사와 과거 분사(p.p)가 함께 쓰이면서 수동태를 표현할 수도 있죠. 일단 과거 분사는 동사가 아닙니다. 동사를 변형시킨 준동사 중 하나로 동사의 기능은 하지만 형용사로 쓰입니다. 이제 동사가 어떤 식으로 과거 분사형이 되는지 볼게요. 우선 동사를 과거형으로 만들 때는 나름의 규칙이 있었습니다. 그냥 ed를 붙이거나 ..
동사의 현재형, 과거형, 과거 분사, 현재 분사, 동명사! 동사의 활용 범위 [영어 문법 풀이 #24]
동사의 현재형, 과거형, 과거 분사, 현재 분사, 동명사! 동사의 활용 범위 [영어 문법 풀이 #24]
2019.05.31동사는 여러 가지로 변형돼서 활용됩니다. 동사는 크게 4가지 모습을 가지고 있어요. 동사의 변형 4가지는 현재형 과거형 과거 분사형(p.p) 현재 분사형(ing 이렇게 있어요. 이렇게 변형하는 이유는 동사 하나를 가지고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동사는 현재 시제와 과거형으로 바꿔서 과거 시제를 표현하지만 미래 시제는 혼자 표현 못합니다. 진행, 분사 다 표현을 못하죠. 그래서 4가지를 가지고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게 되는데요 현재형(원형) - 현재 시제 / 부정사 과거형 - 과거 시제 과거 분사 - 완료, 완료 진행 / 수동태 현재 분사 - 진행, 완료 진행 그동안 배웠던 시제들을 이렇게 동사의 변형을 통해서 표현할 수 있었던 겁니다. 예를 들어서 'go, 가다, 동사'를 가지고 볼게요. go..
동명사, 분사(현재 분사, 과거 분사) - 준동사, 품사 같지만 품사가 아닌 단어 [영어문법풀이 #7]
동명사, 분사(현재 분사, 과거 분사) - 준동사, 품사 같지만 품사가 아닌 단어 [영어문법풀이 #7]
2019.01.24품사 같지만 품사가 아닌 단어 '준동사' 두 번째 글입니다. 지난 시간에도 언급했지만 준동사는 동사의 기능은 하지만 동사가 아닌 다른 품사로 쓰이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준동사는 다음과 같이 쓰인다고 했었습니다. 크게 부정사, 분사, 동명사 부정사는 '명사/형용사/부사' 분사는 '형용사' 동명사는 '명사' 로 쓰인다고 쓰인다고 했죠. 지난 시간에 알아본 부정사에 이어서 이번 시간엔 '분사'와 '동명사'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먼저 동명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명사입니다. 그리고 앞에 ‘동’이 붙어있죠 ‘동’은 '동사의 동'인데요 그래서 동사의 역할을 하는 명사 라는 거죠. 동명사는 동사에 ing를 붙인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동명사는 명사니까 문장 성분 중에서 주어,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