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O부정사
반응형
사역동사, 지각동사 문장 능동태 수동태 전환 하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9]
사역동사, 지각동사 문장 능동태 수동태 전환 하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9]
2021.07.05지난 영상에서 능동-수동 전환에 대한 내용을 다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5형식 문장에서 사역, 지각 의미의 동사가 쓰였을 때 수동으로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일단 문장을 능동 문장을 수동 문장으로 바꾼다는 것은 문장에서 주체가 바뀌는 거라고 했습니다. 어느 한 상황에서 주어가 능동적으로 무언가를 했다면 반대로 무언가에 당하는 대상이 있을 텐데 그 대상이 문장에서 주어가 된다면 당하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수동태를 써야 하는 거죠. 이 내용에 대해 아직 잘 모르시는 분은 지난 영상 #78를 참고하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5형식 문장에서 사역, 지각 의미 동사가 쓰이는 상황에서 어떻게 수동태 구조로 바뀔 수 있는지 알아볼 건데요. 일단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준조동사 ought, need, dare, used to, 뜻과 개념 [영어 문법 풀이 #63]
준조동사 ought, need, dare, used to, 뜻과 개념 [영어 문법 풀이 #63]
2020.12.14지난 시간까지 조동사, Auxiliary, Modal, Linking, Helping Verb 로 불리는 단어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준조동사라고 불리는 단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준조동사라는 이름, 조동사 앞에 있는 이 ‘준’ 이 단어는 여러 단어에서 많이 봤었죠. 준동사 / 준사역 동사 라는 단어에도 붙어있었습니다 이 ‘준’은 뭔가 100%가 아닐 때 붙이곤 합니다 준동사는 동사는 아니지만 동사 의미를 가지는 단어를 말하고 준사역 동사는 사역 동사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단어를 언급할 때 이렇게 부르곤 합니다. 근데 준사역 동사라는 건 없고 사역 동사만 있다라고 #49에서 언급했는데요 궁금하신 분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이 준조동사라는 단어, 이 단어 이름에서 알..
법조동사(Modal Verb) 뜻과 개념, can/must/should/will + 동사 원형(원형 부정사) [영어문법풀이 #60]
법조동사(Modal Verb) 뜻과 개념, can/must/should/will + 동사 원형(원형 부정사) [영어문법풀이 #60]
2020.10.19지난 시간까지 Auxiliary Verb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조동사는 크게 Auxiliary 와 Modal Verb로 구분 된다고 했었고 문장 시제와 종류는 Auxiliary Verb와 관련이 깊다고 했었죠. 이번 시간부터 다룰 Modal Verb는 문장 안에서의 의미와 관련이 깊은 단어입니다. 조동사를 공부하다보면 ‘법’조동사라는 것도 들어보시게 될 건데요. 그게 바로 Modal verb를 그런 식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modal 이란 뜻이 동사의 mood, 분위기를 나타낸다는 뜻의 형용사 단어인데요 그래서 ‘법’을 표현 방법의 그 법이라고 생각하시면 조금 더 편하게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무튼 이름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아요. 언제 쓰이냐 하면 예를 들어서 간다는 표현을 할 때 그냥 I go. 나..
조동사+동사 원형은 틀린 규칙이다 [영어문법풀이 #55]
조동사+동사 원형은 틀린 규칙이다 [영어문법풀이 #55]
2020.06.23조동사라는 이름, 동사는 동사인데 ‘조’라는 동사 이 ‘조는’ 도울 조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문법 공부를 할 때 조동사는 진짜 동사(본동사)를 돕는다 라고 공부를 하곤 합니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틀립니다. 조동사는 돕는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하나의 동사입니다. 그동안 우리가 틀렸지만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개념이 있는데요 바로, 조동사 + 동사 원형이라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또 조동사 + 동사 원형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동사라고 공부하곤 하죠. 이게 잘못됐습니다. 이 말만 보더라도 동사 + 동사라는 말인데, 동사 + 동사? 어느 문장에서도 동사가 연달아 올 수가 없어요 그리고 한 문장에는 동사가 하나만 있어야 합니다. 한 문장의 주인공인 주어는 하나만 존재하고 그 주어의 활동을 표현해..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2020.02.12지난 시간엔 동명사와 현재 분사의 모습이 똑같은데 언제 어떻게 다르게 쓰이는지 알아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동명사와 to 부정사를 비교해볼게요. 둘 다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이지만 생김새는 다릅니다. 동명사는 동사 뒤에 ing를 붙인 준동사고 to 부정사는 동사 앞에 to를 붙인 준동사입니다. 그리고 동명사는 명사로만 쓰이지만 To 부정사는 명사/형용사/부사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쓰일 수 있죠. 그런데 이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죠. 바로 명사로 쓰이는 것. to 부정사가 명사로 쓰일 때와 그리고 명사로 쓰이는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가 올 수 있는 자리인 주어 / 목적어 / 보어 자리 /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Travel, 여행하다 이 동사 단어를 각각 준동사로 변형하면 동명사 ..
대부정사 - 준동사를 대신하는 to 부정사의 생략 형태 [영어문법풀이 #36]
대부정사 - 준동사를 대신하는 to 부정사의 생략 형태 [영어문법풀이 #36]
2019.09.18이번 시간엔 대 부정사라는 걸 알아보겠습니다. 대부정사, 부정사는 배워서 알겠는데 앞에 ‘대’가 붙어있어요 ‘대’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나요? 품사 시간에 영어에는 8가지 품사가 있다고 했었죠 그 품사 중에서 ‘대’가 붙어 있는 품사가 하나 있는데요 바로 대명사가 있습니다. 대명사가 뭐였죠? ‘대’는 큰 대가 아니라 대신하는, 대리하는 그 ‘대’라고 했었습니다. 그래서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명사라고 했었죠. 예를 들어서 제 이름은 ‘한재완’인데요 제가 스스로 말을 할 때 - 한재완은 배가 고파요 한재완은 집에 가고 싶어요 이런 식으로 표현하지 않죠 저는 배가 고파요. 나는 배고파. 이런 식으로 이름 대신에 ‘저’, ‘나’, ‘내’ 이런 단어를 사용하곤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저를 부르실 때 ‘야’, ..
완료 부정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35]
완료 부정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35]
2019.09.05이번 시간은 완료 부정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to 부정사는 시제와 인칭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단어입니다. 예를 들어서 I like to read a book. 나는 책 읽는 걸 좋아한다. like 현재 시제로 시제를 표현하지만 to read, to 부정사는 따로 시제가 없고 문장의 시제를 따라갑니다. 현재인 시점에서 책 읽는 게 좋다는 의미죠. 만약 liked 과거 시제가 쓰인다면 to read, to 부정사는 과거 시제를 같이 표현하겠죠. I liked to read a book. 나는 책 읽는 걸 좋아했다. 과거에 책 읽는 게 좋았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오늘 배울 완료 부정사는 이렇게 to 부정사가 주절의 시제를 따라가지 않고 ‘완료’ 시제 의미를 표현하면서 조금 다르게 되는데요 이걸 ..
Be To 용법의 의미, 뜻, 개념 언제 사용할까 [영어 문법 풀이 #34]
Be To 용법의 의미, 뜻, 개념 언제 사용할까 [영어 문법 풀이 #34]
2019.08.23이번 시간엔 to 부정사 중에서 be to 용법이라는 거를 다뤄보려고 해요. be to에서 be는 be 동사를 말하는 거고 to 는 to + 동사 원형 to 부정사를 말하는 거죠. 결국 be 동사 + to 부정사를 말하는 겁니다. be 동사는 문장의 형식으로 보면 1형식 자동사로도 쓰이기도 하지만 2형식 문장에서 더 많이 쓰입니다. 만약 1형식 문장에 be 동사가 쓰인다면 주어 + 동사로 끝나기 때문에 주어 + be 동사 뒤에 to 부정사가 온다면 그 to 부정사는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부사 역할을 하게 될 겁니다. 2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보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문장이 ‘주어 + be 동사 + to 부정사’라면 to 부정사는 보어 역할을 하는 거겠죠. to 부정사가 명사, 형용사 역할을..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의미 (목원결이 - 목적, 원인, 결과, 이유, 조건, 양보) [영어문법풀이 #33]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의미 (목원결이 - 목적, 원인, 결과, 이유, 조건, 양보) [영어문법풀이 #33]
2019.08.10To 부정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쓸 수 있다고 했습니다. 명사로 사용되면 주어,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고 형용사로 사용되면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명사와 형용사는 보어 자리에 올 수도 있으니까 to 부정사가 보어 역할도 합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에 다룰 내용인 To 부정사가 부사 역할도 합니다. To 부정사가 부사 역할을 하면 부가적인 설명을 하는 거라서 문장에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존재이죠. 그리고 명사는 형용사가 꾸며주니까, 부사는 나머지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 등을 수식한다고도 했었죠. 부사 역할로 봤을 때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역할도 하지만 To 부정사 의미로 봤을 때는 부가 설명을 해주는 역할을 하는 건데요 이번 시간엔 이거에 집중할 거예..
To 부정사 개념, 뜻 /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영어문법풀이 #31]
To 부정사 개념, 뜻 /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영어문법풀이 #31]
2019.07.19동사의 의미를 가지지만 동사가 아닌 준동사 그 준동사에 속하는 부정사 중에서 To 부정사를 알아볼게요. 일단 To 부정사의 생김새를 보자면 준동사이기 때문에 동사를 변형했기 때문에 동사 원형이 사용되고 그 동사 원형 앞에 to 가 붙은 모습 즉, to + 동사 원형 이게 to 부정사입니다. to 부정사는 동사 의미를 가지면서 동사가 아니라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이곤 해요. 그래서 우리는 학교, 학원, 과외, 그리고 참고서 등을 보면 to 부정사의 명사적/형용사적/부사적 용법 이런 걸 보게 될 겁니다. 어쨌든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문장 곳곳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됩니다. 먼저 명사로 활용이 되기 때문에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로 사용이 될 수가 있어요. 명사로 사용되지만 동사 의..
부정사의 종류 (To 부정사, 원형 부정사, 완료 부정사, 대부정사, 분리 부정사, 독립 부정사) [영어문법풀이 #30]
부정사의 종류 (To 부정사, 원형 부정사, 완료 부정사, 대부정사, 분리 부정사, 독립 부정사) [영어문법풀이 #30]
2019.07.11동사에 준하는 단어인 준동사 동사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동사가 아니라 다른 품사로 쓰이는 단어죠. 그래서 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시제와 인칭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준동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한 문장에 동사는 하나만 있어야 하니까 동사 의미를 2개 이상 사용해야 할 경우에 준동사를 사용하게 되는 거예요. 준동사의 종류에는 크게 3가지 부정사, 분사, 동명사가 있다고 했었는데요. 이번 시간엔 부정사의 종류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하나하나 자세한 내용은 다음 시간부터 다뤄보겠습니다. 부정사라는 뜻은 아닐 부, 정할 정, 단어 사로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은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infinitive 형용사로 바꿔보면 infinite infinite는 무한한, 한계가 없는 이런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
조동사, 준동사 뜻과 역할 [영어문법풀이 #10]
조동사, 준동사 뜻과 역할 [영어문법풀이 #10]
2019.02.26저난 글에서 동사와 Be동사에 대해서 간략하게 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조동사와 준동사를 간략하게 짚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준동사는 '동사에 준하다' 라는 뜻으로 동사같지만 동사는 아닌 단어입니다. 동사의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준동사는 동사를 변형해서 만들어집니다. 보통 커리큘럼에서 이 준동사를 어렵다고 맨 뒤에서 가르치곤 하는데 준동사가 정말 많이 사용이 됩니다. 그래서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앞쪽으로 가져와봤습니다. 준동사 종류에는 '부정사, 분사, 동명사'가 있습니다. 일단 가볍게 보고 넘어갈 거니까요 대충 이런 거구나 하고 넘기시면 됩니다. 준동사는 문법풀이 #6, 7에서 간략하게 다루기도 했었죠. 부정사 그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뜻인데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명사, 형용사, 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