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정사
반응형
원형 부정사 개념, 동사 원형처럼 생긴 준동사! [영어문법풀이 #38]
원형 부정사 개념, 동사 원형처럼 생긴 준동사! [영어문법풀이 #38]
2019.10.10‘원형 부정사’ 낯설게 느껴지시나요? 사실 영어를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정말 많이 접했을 단어입니다. 학교든 학원이든 참고서 등으로 공부를 할 때 원형 부정사는 바로 동사 원형이라고 취급하면서 공부를 하곤 했던 단어예요. 원형 부정사가 뭔지 그리고 언제 어떻게 접했었는지 이제 하나씩 보도록 해볼게요. 원형 부정사는 To 부정사와 거의 같은 단어입니다. To 부정사의 모습이 ‘To + 동사 원형’이잖아요 원형 부정사는 ‘To + 동사 원형’에서 ‘to’를 뺀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형 부정사의 모습은 동사 원형이랑 똑같이 보이죠. 이런 모습 때문에 원형 부정사를 그냥 동사 원형이라고 공부를 하곤 했던 거죠. 그런데 원형 부정사는 준동사고 동사 원형은 동사입니다. 준동사는 동사..
분리 부정사와 독립 부정사 뜻과 개념[문법풀이 #37]
분리 부정사와 독립 부정사 뜻과 개념[문법풀이 #37]
2019.09.26to 부정사와 관련된 부정사 중에서 분리 부정사와 독립 부정사를 알아보겠습니다. 분리와 독립 각각 이름만 잘 생각한다면 크게 어렵지 않을 거예요. 분리, 말 그대로 분리를 하는 거죠. 예를 들어서 제가 지금 집에 있어요. 그리고 방에 있습니다. 이 방은 집이라는 한 공간 덩어리 안에서 거실과, 다른 방과 떨어져 있어요. 분리가 되어 있는 거죠. 그리고 독립이라는 건 분리와는 다르게 옆집과 비교를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지금 제가 있는 이 공간에서 벗어나서 따로 존재하는 거죠. 이 집과 옆집은 따로 독립된 공간입니다. 이렇게 분리와 독립은 다른 의미인데요 이 개념을 부정사에 적용하면 됩니다. 먼저 분리 부정사 한 공간 안에서 떨어져 있는 부정사입니다. 예를 들어서 I want to go home. ‘나 ..
대부정사 - 준동사를 대신하는 to 부정사의 생략 형태 [영어문법풀이 #36]
대부정사 - 준동사를 대신하는 to 부정사의 생략 형태 [영어문법풀이 #36]
2019.09.18이번 시간엔 대 부정사라는 걸 알아보겠습니다. 대부정사, 부정사는 배워서 알겠는데 앞에 ‘대’가 붙어있어요 ‘대’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나요? 품사 시간에 영어에는 8가지 품사가 있다고 했었죠 그 품사 중에서 ‘대’가 붙어 있는 품사가 하나 있는데요 바로 대명사가 있습니다. 대명사가 뭐였죠? ‘대’는 큰 대가 아니라 대신하는, 대리하는 그 ‘대’라고 했었습니다. 그래서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명사라고 했었죠. 예를 들어서 제 이름은 ‘한재완’인데요 제가 스스로 말을 할 때 - 한재완은 배가 고파요 한재완은 집에 가고 싶어요 이런 식으로 표현하지 않죠 저는 배가 고파요. 나는 배고파. 이런 식으로 이름 대신에 ‘저’, ‘나’, ‘내’ 이런 단어를 사용하곤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저를 부르실 때 ‘야’, ..
완료 부정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35]
완료 부정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35]
2019.09.05이번 시간은 완료 부정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to 부정사는 시제와 인칭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단어입니다. 예를 들어서 I like to read a book. 나는 책 읽는 걸 좋아한다. like 현재 시제로 시제를 표현하지만 to read, to 부정사는 따로 시제가 없고 문장의 시제를 따라갑니다. 현재인 시점에서 책 읽는 게 좋다는 의미죠. 만약 liked 과거 시제가 쓰인다면 to read, to 부정사는 과거 시제를 같이 표현하겠죠. I liked to read a book. 나는 책 읽는 걸 좋아했다. 과거에 책 읽는 게 좋았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오늘 배울 완료 부정사는 이렇게 to 부정사가 주절의 시제를 따라가지 않고 ‘완료’ 시제 의미를 표현하면서 조금 다르게 되는데요 이걸 ..
To 부정사 개념, 뜻 /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영어문법풀이 #31]
To 부정사 개념, 뜻 /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영어문법풀이 #31]
2019.07.19동사의 의미를 가지지만 동사가 아닌 준동사 그 준동사에 속하는 부정사 중에서 To 부정사를 알아볼게요. 일단 To 부정사의 생김새를 보자면 준동사이기 때문에 동사를 변형했기 때문에 동사 원형이 사용되고 그 동사 원형 앞에 to 가 붙은 모습 즉, to + 동사 원형 이게 to 부정사입니다. to 부정사는 동사 의미를 가지면서 동사가 아니라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이곤 해요. 그래서 우리는 학교, 학원, 과외, 그리고 참고서 등을 보면 to 부정사의 명사적/형용사적/부사적 용법 이런 걸 보게 될 겁니다. 어쨌든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문장 곳곳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됩니다. 먼저 명사로 활용이 되기 때문에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로 사용이 될 수가 있어요. 명사로 사용되지만 동사 의..
부정사의 종류 (To 부정사, 원형 부정사, 완료 부정사, 대부정사, 분리 부정사, 독립 부정사) [영어문법풀이 #30]
부정사의 종류 (To 부정사, 원형 부정사, 완료 부정사, 대부정사, 분리 부정사, 독립 부정사) [영어문법풀이 #30]
2019.07.11동사에 준하는 단어인 준동사 동사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동사가 아니라 다른 품사로 쓰이는 단어죠. 그래서 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시제와 인칭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준동사를 사용하는 이유는 한 문장에 동사는 하나만 있어야 하니까 동사 의미를 2개 이상 사용해야 할 경우에 준동사를 사용하게 되는 거예요. 준동사의 종류에는 크게 3가지 부정사, 분사, 동명사가 있다고 했었는데요. 이번 시간엔 부정사의 종류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하나하나 자세한 내용은 다음 시간부터 다뤄보겠습니다. 부정사라는 뜻은 아닐 부, 정할 정, 단어 사로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은 단어입니다. 영어로는, infinitive 형용사로 바꿔보면 infinite infinite는 무한한, 한계가 없는 이런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
준동사의 개념, 뜻, 존재 이유(verbid) [영어문법풀이 #29]
준동사의 개념, 뜻, 존재 이유(verbid) [영어문법풀이 #29]
2019.07.03동사는 주어의 활동 (육체 활동, 정신 활동)을 표현해주죠. 그 활동을 표현해줄 때 그 활동이 일어나는 시기인 시제도 표현해줍니다. 그리고 ‘한 문장에는 동사가 하나’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일단 한 문장에는 주어가 하나밖에 없습니다. 동시에 주어의 활동을 표현해주는 짝꿍인 동사도 하나만 있을 수 있죠. 그런데 우리는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동사 의미가 2개 이상 필요할 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서 ‘선생님께서 내가 집에 가도 된다고 허락하셨다.’ 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에서 주어는 선생님입니다. 그럼 짝꿍인 동사는 뭘까요? 선생님이 하신 활동(행동)인 동사는 바로 허락하신 거죠. 그리고 뭘 허락했나요? ‘내가 집에 가는 것 여기서 ‘가다’ 이것도 육체 활동을 표현하는 동사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조동사, 준동사 뜻과 역할 [영어문법풀이 #10]
조동사, 준동사 뜻과 역할 [영어문법풀이 #10]
2019.02.26저난 글에서 동사와 Be동사에 대해서 간략하게 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조동사와 준동사를 간략하게 짚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준동사는 '동사에 준하다' 라는 뜻으로 동사같지만 동사는 아닌 단어입니다. 동사의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준동사는 동사를 변형해서 만들어집니다. 보통 커리큘럼에서 이 준동사를 어렵다고 맨 뒤에서 가르치곤 하는데 준동사가 정말 많이 사용이 됩니다. 그래서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앞쪽으로 가져와봤습니다. 준동사 종류에는 '부정사, 분사, 동명사'가 있습니다. 일단 가볍게 보고 넘어갈 거니까요 대충 이런 거구나 하고 넘기시면 됩니다. 준동사는 문법풀이 #6, 7에서 간략하게 다루기도 했었죠. 부정사 그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뜻인데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명사, 형용사, 부사..
준동사인 부정사, To 부정사와 원형 부정사, 영어 문장에서 어떤 문법적 요소로 쓰일까? [영어문법풀이 #6]
준동사인 부정사, To 부정사와 원형 부정사, 영어 문장에서 어떤 문법적 요소로 쓰일까? [영어문법풀이 #6]
2019.01.20품사 같지만 품사가 아닌 단어 두 번째 시간 준동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준동사에 쓰인 '준'은 무슨 의미일까요? 결승전에서 오르기 위한 경기 '준결승'이라는 단어는 많이 보셨을 거예요 결승은 아니지만 결승을 위한 이 의미를 위해서 '준'이라는 단어가 사용됐죠. '준동사'도 비슷합니다. '동사는 아니지만 동사의 역할을 하는 것' 그래서 동사를 변형해서 사용을 합니다. 이런 말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한 문장에 동사는 하나다.' 이 규칙을 위해서 한 문장 안에는 동사를 하나만 쓰게 됩니다. 한 문장에는 주어가 하나고 그 주어의 행동을 표현해줄 동사 하나이기 때문이죠. (주어와 동사는 짝꿍) 그런데 한 문장에 동사가 2개가 필요할 때가 있어요 예를 들어서 '나는 그 남자가 떠나주길 바라.' 풀이를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