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거분사
반응형
사역동사, 지각동사 문장 능동태 수동태 전환 하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9]
사역동사, 지각동사 문장 능동태 수동태 전환 하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9]
2021.07.05지난 영상에서 능동-수동 전환에 대한 내용을 다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5형식 문장에서 사역, 지각 의미의 동사가 쓰였을 때 수동으로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일단 문장을 능동 문장을 수동 문장으로 바꾼다는 것은 문장에서 주체가 바뀌는 거라고 했습니다. 어느 한 상황에서 주어가 능동적으로 무언가를 했다면 반대로 무언가에 당하는 대상이 있을 텐데 그 대상이 문장에서 주어가 된다면 당하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수동태를 써야 하는 거죠. 이 내용에 대해 아직 잘 모르시는 분은 지난 영상 #78를 참고하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5형식 문장에서 사역, 지각 의미 동사가 쓰이는 상황에서 어떻게 수동태 구조로 바뀔 수 있는지 알아볼 건데요. 일단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get + p.p 수동태, 다양한 전치사, To 부정사의 수동태 [영어문법풀이 #76]
get + p.p 수동태, 다양한 전치사, To 부정사의 수동태 [영어문법풀이 #76]
2021.04.16이번 시간엔 수동태의 다양한 모습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짚어보려고 하는데요. 일단 수동태/수동문에 대한 내용을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은 문법풀이 #74/#75를 먼저 보시고 오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내용은 크게 네 가지예요 1. 전치사 + 명사 by + 명사 내용만 다뤘었는데요 다른 전치사도 사용될 수 있다는 걸 봐볼 거구요 2. 형용사로 알고 있는 단어 예를 들어서 touched, 감동한 / disappointed, 실망한 이런 단어는 그냥 형용사가 아니라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인 과거 분사라서 수동태 구조라는 것과 3. 수동태 모습은 be 동사 + p.p 라고 공부했는데요. be 대신에 get을 사용해서 수동태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 4. To 부정사에서의 수동 이걸 간단히 봐보도록..
조동사+동사 원형은 틀린 규칙이다 [영어문법풀이 #55]
조동사+동사 원형은 틀린 규칙이다 [영어문법풀이 #55]
2020.06.23조동사라는 이름, 동사는 동사인데 ‘조’라는 동사 이 ‘조는’ 도울 조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문법 공부를 할 때 조동사는 진짜 동사(본동사)를 돕는다 라고 공부를 하곤 합니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틀립니다. 조동사는 돕는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하나의 동사입니다. 그동안 우리가 틀렸지만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개념이 있는데요 바로, 조동사 + 동사 원형이라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또 조동사 + 동사 원형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동사라고 공부하곤 하죠. 이게 잘못됐습니다. 이 말만 보더라도 동사 + 동사라는 말인데, 동사 + 동사? 어느 문장에서도 동사가 연달아 올 수가 없어요 그리고 한 문장에는 동사가 하나만 있어야 합니다. 한 문장의 주인공인 주어는 하나만 존재하고 그 주어의 활동을 표현해..
동사 ed/ing 구분하기(분사) 사람이라면 ed 아니면 ing라고? [영어문법풀이 #44]
동사 ed/ing 구분하기(분사) 사람이라면 ed 아니면 ing라고? [영어문법풀이 #44]
2019.12.07현재 분사는 진행 의미와 능동 의미를 가진다고 했었고 과거 분사는 완료 의미와 수동 의미를 가진다고 했었습니다. 그리고 분사는 문장 내에서 형용사로 쓰인다고 했었죠. 이번 시간엔 이 현재 분사와 과거 분사를 비교하면서 그 개념을 조금 더 이해되도록 해보려고 합니다. 문장으로 보면서 비교를 해볼게요. 예를 들어서 분사로 만들기 전의 동사 단어 두 개를 가지고 비교를 해볼게요. interst: 흥미를 끌다 bore: 지루하게 만들다 문장으로 보면 I am interesting. V.S I am interested. I am boring. V.S I am bored. 이 각각 문장 중에서 어떤 게 옳은 표현일까요? 문장을 분석해보면서 볼게요. 일단 이 문장은 주어 + 동사 + 형용사로 이루어진 문장이죠. 형용..
뒤에서 수식하는 형용사, 분사! 그 이유의 뜻, 개념 [영어 문법 풀이 #43]
뒤에서 수식하는 형용사, 분사! 그 이유의 뜻, 개념 [영어 문법 풀이 #43]
2019.11.28명사 앞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거를 알아봤었죠. 그런데 항상 명사 앞에서 꾸며주는 건 아닙니다. 명사 뒤에서 꾸며주는 걸 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지난 시간에 다뤘던 5형식 문장. 5형식 문장에서 보어 자리에 분사도 올 수가 있죠. 보어 자리에는 명사와 형용사만 올 수 있는데 분사가 형용사니까 충분히 올 자격이 됩니다. 그래서 그 문장들을 보면 I saw him dancing. 이렇게 him을 설명하는 dancing, 현재 분사가 더 뒤에 있고 I had my hair cut. my hair의 상황을 표현하는 cut, 과거 분사가 더 뒤에 있죠. 이렇게 뒤에서 꾸며주는 모습도 볼 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형용사 단어가 하나면 명사 앞에서 명사를 꾸며주고. 단어가 두 개 이상이면 명사 뒤에서 꾸며..
분사의 형용사로 쓰임 역할1 (과거 분사/현재 분사) [영어 문법 풀이 #42]
분사의 형용사로 쓰임 역할1 (과거 분사/현재 분사) [영어 문법 풀이 #42]
2019.11.19현재 분사, 과거 분사 이 분사는 동사를 변형한 형용사입니다. 형용사니까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겠죠. 예를 들어서 고양이 눈에 보이고 지칭할 수 있는 명사죠. 이 명사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꾸며줄 수 있는 게 바로 형용산데요. 고양이가 검은색이라면 ‘검은색 고양이’라고 부를 수 있겠죠. 형용사를 사용해서 고양이는 고양인데 검은색이라고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검은색이라는 단어가 하나의 형용사입니다. 이런 형용사 역할을 분사도 할 수 있다는 건데요. 분사는 동사를 변형한 거라서 그냥 형용사와는 다르게 동사 의미를 가지고 명사를 표현해줍니다. 예를 들어서 고양이는 높은 곳에 잘 뛰어오르니까 ‘뛰는 고양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죠. ‘뛰다’라는 동사 단어를 ‘뛰는’으로 바꾸면서 형용사로..
동사의 과거 분사 규칙 (past participle, p.p) [영어 문법 풀이 #27]
동사의 과거 분사 규칙 (past participle, p.p) [영어 문법 풀이 #27]
2019.06.23이번 시간엔 동사의 과거형과 비슷한 과거 분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동사를 왜 과거 분사형으로 만드는 걸까요? 그 이유는 동사 그 자체로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시제에는 동사의 현재형 과거 시제에는 동사의 과거형 그런데 완료 시제를 표현할 때는 동사로는 그 시간을 표현할 수 없어서 동사를 과거 분사형으로 만들게 돼요. 그리고 동사 그 자체로는 능동 표현밖에 못하는데요 be 동사와 과거 분사(p.p)가 함께 쓰이면서 수동태를 표현할 수도 있죠. 일단 과거 분사는 동사가 아닙니다. 동사를 변형시킨 준동사 중 하나로 동사의 기능은 하지만 형용사로 쓰입니다. 이제 동사가 어떤 식으로 과거 분사형이 되는지 볼게요. 우선 동사를 과거형으로 만들 때는 나름의 규칙이 있었습니다. 그냥 ed를 붙이거나 ..
동사의 현재형, 과거형, 과거 분사, 현재 분사, 동명사! 동사의 활용 범위 [영어 문법 풀이 #24]
동사의 현재형, 과거형, 과거 분사, 현재 분사, 동명사! 동사의 활용 범위 [영어 문법 풀이 #24]
2019.05.31동사는 여러 가지로 변형돼서 활용됩니다. 동사는 크게 4가지 모습을 가지고 있어요. 동사의 변형 4가지는 현재형 과거형 과거 분사형(p.p) 현재 분사형(ing 이렇게 있어요. 이렇게 변형하는 이유는 동사 하나를 가지고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동사는 현재 시제와 과거형으로 바꿔서 과거 시제를 표현하지만 미래 시제는 혼자 표현 못합니다. 진행, 분사 다 표현을 못하죠. 그래서 4가지를 가지고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게 되는데요 현재형(원형) - 현재 시제 / 부정사 과거형 - 과거 시제 과거 분사 - 완료, 완료 진행 / 수동태 현재 분사 - 진행, 완료 진행 그동안 배웠던 시제들을 이렇게 동사의 변형을 통해서 표현할 수 있었던 겁니다. 예를 들어서 'go, 가다, 동사'를 가지고 볼게요. go..
조동사, 준동사 뜻과 역할 [영어문법풀이 #10]
조동사, 준동사 뜻과 역할 [영어문법풀이 #10]
2019.02.26저난 글에서 동사와 Be동사에 대해서 간략하게 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조동사와 준동사를 간략하게 짚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준동사는 '동사에 준하다' 라는 뜻으로 동사같지만 동사는 아닌 단어입니다. 동사의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준동사는 동사를 변형해서 만들어집니다. 보통 커리큘럼에서 이 준동사를 어렵다고 맨 뒤에서 가르치곤 하는데 준동사가 정말 많이 사용이 됩니다. 그래서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앞쪽으로 가져와봤습니다. 준동사 종류에는 '부정사, 분사, 동명사'가 있습니다. 일단 가볍게 보고 넘어갈 거니까요 대충 이런 거구나 하고 넘기시면 됩니다. 준동사는 문법풀이 #6, 7에서 간략하게 다루기도 했었죠. 부정사 그 품사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뜻인데요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명사, 형용사, 부사..
동명사, 분사(현재 분사, 과거 분사) - 준동사, 품사 같지만 품사가 아닌 단어 [영어문법풀이 #7]
동명사, 분사(현재 분사, 과거 분사) - 준동사, 품사 같지만 품사가 아닌 단어 [영어문법풀이 #7]
2019.01.24품사 같지만 품사가 아닌 단어 '준동사' 두 번째 글입니다. 지난 시간에도 언급했지만 준동사는 동사의 기능은 하지만 동사가 아닌 다른 품사로 쓰이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준동사는 다음과 같이 쓰인다고 했었습니다. 크게 부정사, 분사, 동명사 부정사는 '명사/형용사/부사' 분사는 '형용사' 동명사는 '명사' 로 쓰인다고 쓰인다고 했죠. 지난 시간에 알아본 부정사에 이어서 이번 시간엔 '분사'와 '동명사'를 알아보도록 할게요 먼저 동명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명사입니다. 그리고 앞에 ‘동’이 붙어있죠 ‘동’은 '동사의 동'인데요 그래서 동사의 역할을 하는 명사 라는 거죠. 동명사는 동사에 ing를 붙인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동명사는 명사니까 문장 성분 중에서 주어,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