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준동사
반응형
get + p.p 수동태, 다양한 전치사, To 부정사의 수동태 [영어문법풀이 #76]
get + p.p 수동태, 다양한 전치사, To 부정사의 수동태 [영어문법풀이 #76]
2021.04.16이번 시간엔 수동태의 다양한 모습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짚어보려고 하는데요. 일단 수동태/수동문에 대한 내용을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은 문법풀이 #74/#75를 먼저 보시고 오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내용은 크게 네 가지예요 1. 전치사 + 명사 by + 명사 내용만 다뤘었는데요 다른 전치사도 사용될 수 있다는 걸 봐볼 거구요 2. 형용사로 알고 있는 단어 예를 들어서 touched, 감동한 / disappointed, 실망한 이런 단어는 그냥 형용사가 아니라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인 과거 분사라서 수동태 구조라는 것과 3. 수동태 모습은 be 동사 + p.p 라고 공부했는데요. be 대신에 get을 사용해서 수동태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 4. To 부정사에서의 수동 이걸 간단히 봐보도록..
조동사+동사 원형은 틀린 규칙이다 [영어문법풀이 #55]
조동사+동사 원형은 틀린 규칙이다 [영어문법풀이 #55]
2020.06.23조동사라는 이름, 동사는 동사인데 ‘조’라는 동사 이 ‘조는’ 도울 조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문법 공부를 할 때 조동사는 진짜 동사(본동사)를 돕는다 라고 공부를 하곤 합니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틀립니다. 조동사는 돕는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 하나의 동사입니다. 그동안 우리가 틀렸지만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개념이 있는데요 바로, 조동사 + 동사 원형이라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또 조동사 + 동사 원형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동사라고 공부하곤 하죠. 이게 잘못됐습니다. 이 말만 보더라도 동사 + 동사라는 말인데, 동사 + 동사? 어느 문장에서도 동사가 연달아 올 수가 없어요 그리고 한 문장에는 동사가 하나만 있어야 합니다. 한 문장의 주인공인 주어는 하나만 존재하고 그 주어의 활동을 표현해..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2020.02.12지난 시간엔 동명사와 현재 분사의 모습이 똑같은데 언제 어떻게 다르게 쓰이는지 알아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동명사와 to 부정사를 비교해볼게요. 둘 다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이지만 생김새는 다릅니다. 동명사는 동사 뒤에 ing를 붙인 준동사고 to 부정사는 동사 앞에 to를 붙인 준동사입니다. 그리고 동명사는 명사로만 쓰이지만 To 부정사는 명사/형용사/부사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쓰일 수 있죠. 그런데 이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죠. 바로 명사로 쓰이는 것. to 부정사가 명사로 쓰일 때와 그리고 명사로 쓰이는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가 올 수 있는 자리인 주어 / 목적어 / 보어 자리 /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Travel, 여행하다 이 동사 단어를 각각 준동사로 변형하면 동명사 ..
동명사 개념(동사+ing), 주어/목적어/보어 자리/전치사 뒤에 쓰임 현재 분사와 다른 점 [영어 문법 풀이 #45]
동명사 개념(동사+ing), 주어/목적어/보어 자리/전치사 뒤에 쓰임 현재 분사와 다른 점 [영어 문법 풀이 #45]
2019.12.17준동사는 동사를 변형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서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이고 문장 속에서 이미 쓰인 동사 이외에 동사 의미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면 동사를 또 쓰는 게 아니라 상황에 맞는 준동사를 골라 쓰게 된다고 했습니다. 부정사는 상황에 맞게 명사/형용사/부사로 쓰인다고 했었고 분사는 형용사로 쓰인다고 했었고 이번 시간에 알아볼 동명사는 명사로 쓰이게 됩니다. 일단 준동사 중에서 동명사가 이름만 보고 그 역할을 파악하기 가장 쉬운 단어입니다. 동명사 - 동사+명사 동사 의미를 가지면서 명사로 쓰이는 단어입니다. 명사니까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 보어 자리에도 올 수가 있겠죠. 보어 자리는 명사와 형용사만 올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전치사 뒤에 명사가 오기도 합니다. 전..
동사 ed/ing 구분하기(분사) 사람이라면 ed 아니면 ing라고? [영어문법풀이 #44]
동사 ed/ing 구분하기(분사) 사람이라면 ed 아니면 ing라고? [영어문법풀이 #44]
2019.12.07현재 분사는 진행 의미와 능동 의미를 가진다고 했었고 과거 분사는 완료 의미와 수동 의미를 가진다고 했었습니다. 그리고 분사는 문장 내에서 형용사로 쓰인다고 했었죠. 이번 시간엔 이 현재 분사와 과거 분사를 비교하면서 그 개념을 조금 더 이해되도록 해보려고 합니다. 문장으로 보면서 비교를 해볼게요. 예를 들어서 분사로 만들기 전의 동사 단어 두 개를 가지고 비교를 해볼게요. interst: 흥미를 끌다 bore: 지루하게 만들다 문장으로 보면 I am interesting. V.S I am interested. I am boring. V.S I am bored. 이 각각 문장 중에서 어떤 게 옳은 표현일까요? 문장을 분석해보면서 볼게요. 일단 이 문장은 주어 + 동사 + 형용사로 이루어진 문장이죠. 형용..
분사의 형용사로 쓰임 역할1 (과거 분사/현재 분사) [영어 문법 풀이 #42]
분사의 형용사로 쓰임 역할1 (과거 분사/현재 분사) [영어 문법 풀이 #42]
2019.11.19현재 분사, 과거 분사 이 분사는 동사를 변형한 형용사입니다. 형용사니까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겠죠. 예를 들어서 고양이 눈에 보이고 지칭할 수 있는 명사죠. 이 명사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꾸며줄 수 있는 게 바로 형용산데요. 고양이가 검은색이라면 ‘검은색 고양이’라고 부를 수 있겠죠. 형용사를 사용해서 고양이는 고양인데 검은색이라고 좀 더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검은색이라는 단어가 하나의 형용사입니다. 이런 형용사 역할을 분사도 할 수 있다는 건데요. 분사는 동사를 변형한 거라서 그냥 형용사와는 다르게 동사 의미를 가지고 명사를 표현해줍니다. 예를 들어서 고양이는 높은 곳에 잘 뛰어오르니까 ‘뛰는 고양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죠. ‘뛰다’라는 동사 단어를 ‘뛰는’으로 바꾸면서 형용사로..
현재 분사 개념, 뜻!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 진행 시제/보어/능동 [영어 문법 풀이 #40]
현재 분사 개념, 뜻! 언제 어떻게 사용할까? 진행 시제/보어/능동 [영어 문법 풀이 #40]
2019.10.29분사는 하나의 준동사로 동사의 기능을 하는 단어인데요. 분사는 형용사로 쓰인다고 했습니다. 현재 분사는 동사에 ing를 붙여 변형한 준동사로 형용사 역할을 하게 되죠. 예를 들어서 drink, 마시다 ing를 붙이면 drinking, 마시는 이런 식으로 현재 분사로 변형되구요. cut, 자르다 ing를 붙이면 cutting, 자르는 이런 식으로 현재 분사로 변형됩니다. 현재 분사는 이렇게 동사 의미를 그대로 가지면서 동사를 변형한 하나의 준동사입니다. 이런 현재 분사는 언제 쓰이냐면 진행 시제와 능동 문장을 만들 때 쓰입니다. 그리고 형용사로 쓰이니까 명사를 꾸며주는, 수식하는 역할도 하죠. 왜 이렇게 동사를 변형해서 쓰냐면 동사는 그 자체로는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했었는데요. 예를 들어서 ..
원형 부정사 개념, 동사 원형처럼 생긴 준동사! [영어문법풀이 #38]
원형 부정사 개념, 동사 원형처럼 생긴 준동사! [영어문법풀이 #38]
2019.10.10‘원형 부정사’ 낯설게 느껴지시나요? 사실 영어를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정말 많이 접했을 단어입니다. 학교든 학원이든 참고서 등으로 공부를 할 때 원형 부정사는 바로 동사 원형이라고 취급하면서 공부를 하곤 했던 단어예요. 원형 부정사가 뭔지 그리고 언제 어떻게 접했었는지 이제 하나씩 보도록 해볼게요. 원형 부정사는 To 부정사와 거의 같은 단어입니다. To 부정사의 모습이 ‘To + 동사 원형’이잖아요 원형 부정사는 ‘To + 동사 원형’에서 ‘to’를 뺀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원형 부정사의 모습은 동사 원형이랑 똑같이 보이죠. 이런 모습 때문에 원형 부정사를 그냥 동사 원형이라고 공부를 하곤 했던 거죠. 그런데 원형 부정사는 준동사고 동사 원형은 동사입니다. 준동사는 동사..
대부정사 - 준동사를 대신하는 to 부정사의 생략 형태 [영어문법풀이 #36]
대부정사 - 준동사를 대신하는 to 부정사의 생략 형태 [영어문법풀이 #36]
2019.09.18이번 시간엔 대 부정사라는 걸 알아보겠습니다. 대부정사, 부정사는 배워서 알겠는데 앞에 ‘대’가 붙어있어요 ‘대’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나요? 품사 시간에 영어에는 8가지 품사가 있다고 했었죠 그 품사 중에서 ‘대’가 붙어 있는 품사가 하나 있는데요 바로 대명사가 있습니다. 대명사가 뭐였죠? ‘대’는 큰 대가 아니라 대신하는, 대리하는 그 ‘대’라고 했었습니다. 그래서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명사라고 했었죠. 예를 들어서 제 이름은 ‘한재완’인데요 제가 스스로 말을 할 때 - 한재완은 배가 고파요 한재완은 집에 가고 싶어요 이런 식으로 표현하지 않죠 저는 배가 고파요. 나는 배고파. 이런 식으로 이름 대신에 ‘저’, ‘나’, ‘내’ 이런 단어를 사용하곤 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저를 부르실 때 ‘야’, ..
완료 부정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35]
완료 부정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35]
2019.09.05이번 시간은 완료 부정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to 부정사는 시제와 인칭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단어입니다. 예를 들어서 I like to read a book. 나는 책 읽는 걸 좋아한다. like 현재 시제로 시제를 표현하지만 to read, to 부정사는 따로 시제가 없고 문장의 시제를 따라갑니다. 현재인 시점에서 책 읽는 게 좋다는 의미죠. 만약 liked 과거 시제가 쓰인다면 to read, to 부정사는 과거 시제를 같이 표현하겠죠. I liked to read a book. 나는 책 읽는 걸 좋아했다. 과거에 책 읽는 게 좋았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런데 오늘 배울 완료 부정사는 이렇게 to 부정사가 주절의 시제를 따라가지 않고 ‘완료’ 시제 의미를 표현하면서 조금 다르게 되는데요 이걸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의미 (목원결이 - 목적, 원인, 결과, 이유, 조건, 양보) [영어문법풀이 #33]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의미 (목원결이 - 목적, 원인, 결과, 이유, 조건, 양보) [영어문법풀이 #33]
2019.08.10To 부정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쓸 수 있다고 했습니다. 명사로 사용되면 주어, 목적어 자리에 올 수 있고 형용사로 사용되면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명사와 형용사는 보어 자리에 올 수도 있으니까 to 부정사가 보어 역할도 합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에 다룰 내용인 To 부정사가 부사 역할도 합니다. To 부정사가 부사 역할을 하면 부가적인 설명을 하는 거라서 문장에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존재이죠. 그리고 명사는 형용사가 꾸며주니까, 부사는 나머지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 등을 수식한다고도 했었죠. 부사 역할로 봤을 때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역할도 하지만 To 부정사 의미로 봤을 때는 부가 설명을 해주는 역할을 하는 건데요 이번 시간엔 이거에 집중할 거예..
To 부정사 개념, 뜻 /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영어문법풀이 #31]
To 부정사 개념, 뜻 /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영어문법풀이 #31]
2019.07.19동사의 의미를 가지지만 동사가 아닌 준동사 그 준동사에 속하는 부정사 중에서 To 부정사를 알아볼게요. 일단 To 부정사의 생김새를 보자면 준동사이기 때문에 동사를 변형했기 때문에 동사 원형이 사용되고 그 동사 원형 앞에 to 가 붙은 모습 즉, to + 동사 원형 이게 to 부정사입니다. to 부정사는 동사 의미를 가지면서 동사가 아니라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이곤 해요. 그래서 우리는 학교, 학원, 과외, 그리고 참고서 등을 보면 to 부정사의 명사적/형용사적/부사적 용법 이런 걸 보게 될 겁니다. 어쨌든 명사, 형용사, 부사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문장 곳곳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됩니다. 먼저 명사로 활용이 되기 때문에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로 사용이 될 수가 있어요. 명사로 사용되지만 동사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