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법풀이
반응형
의문문(+의문사)에 대한 대답을 하는 방법과 규칙 [영어문법풀이 #73]
의문문(+의문사)에 대한 대답을 하는 방법과 규칙 [영어문법풀이 #73]
2021.03.27문법풀이 #68 ~ 72까지 의문문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이번 시간엔 그 의문문에 대한 대답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도록 해볼거예요. 일단 기본적으로 물음에 대한 대답은 국어와 조금 다릅니다. 우리는 무언가 물어봤을 때, 그 질문에 대한 기준으로 예, 아니오를 정하게 되는데 영어는 행동을 기반으로 예, 아니오를 정하게 돼요. 무슨 말이냐면 예를 들어서 너 밥 먹었어? 라고 물어보면 응 먹었어 / 아니 안 먹었어. 이렇게 대답하고 너 밥 안 먹었어? 라고 물어보면 아니 먹었어 / 응 안 먹었어. 이런 식으로 대답을 합니다. 질문이 긍정문인지 부정문인지에 따라서 대답이 예, 아니오가 결정이 되죠. 그런데 영어는 질문의 긍정, 부정은 상관없이 대답하는 사람의 상황 기준으로 대답을 해요. 예를 들..
if/whether 간접 의문문 만드는 방법과 규칙! 뜻과 개념 [영어문법풀이 #72]
if/whether 간접 의문문 만드는 방법과 규칙! 뜻과 개념 [영어문법풀이 #72]
2021.03.18지난 시간엔 의문사를 활용한 간접 의문문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의문사 없이 간접 의문문을 만드는 걸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간접 의문문에 대한 내용을 잘 모르시는 분은 지난 영상 문법풀이 #71 참고하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간접 의문문은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한 문장에 붙어서 사용된다고 했었습니다. 그래서 두 개의 문장이 하나로 이어지면서 표현된다고 했었는데요. 앞 문장을 주절, 간접 의문문을 의존절/종속절로 본다고 했었죠. 그리고 의문문이지만 간접 의문문의 형태는 주어 동사 순으로 구성되고 간접 의문문은 앞 문장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하나의 절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명사절 접속사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의문사 없이 간접의문문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의문사 대신에 whether과 if가..
간접 의문문 규칙! 만드는 방법! 개념과 원리 뜻 [영어문법풀이 #71]
간접 의문문 규칙! 만드는 방법! 개념과 원리 뜻 [영어문법풀이 #71]
2021.03.16지난시간까지 다룬 의문 문장은 다 직설법에 속하는 문장들이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의문문 중에서 간접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의문문은 있는 그대로 물어볼 수도 있지만 의문을 가지지만 물어보는 문장까지는 아닌 그런 문장을 간접 의문문이라는 이름으로 공부를 하곤 합니다. 이 간접 의문문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다른 문장에 붙어 사용됩니다. 그래서 일반 문장에 붙었다면 마침표로 문장을 마무리 하게 되고. 의문문에 붙었다면 물음표로 문장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또 단독으로 쓰일 수 없는 간접 의문문은 의존절/종속절로 볼 수 있고 앞 문장을 주절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나는 걔가 왜 그렇게 만들었는지 모르겠어. 1) 모르겠어. 2) 왜 그렇게 만들었을까 이렇게 일반 문장에 붙어서 마침표로 문장을 마..
의문사를 활용한 의문문 만드는 원리와 개념, 방법과 규칙 [영어문법풀이 #70]
의문사를 활용한 의문문 만드는 원리와 개념, 방법과 규칙 [영어문법풀이 #70]
2021.03.10지난 시간에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의문사 단어 없이 만든 문장들만 다뤄봤었는데요. 이번 시간엔 의문사가 들어간 문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일단 의문사에 대한 내용은 문법풀이 #5 참고 의문사에는 일단 여러 가지 단어가 있고 상황에 따라 여러 역할을 하는데요. 먼저 가장 쉬운 것부터 보자면 지난 시간에 나열했던 문장들에 의문사 단어만 추가하면 되는 겁니다. 문장들을 보면 Were you a student? Does he love it? Has she studied English? Can you sleep? 등등 문장을 만들어봤었습니다. 여기에 그냥 의문사 단어를 추가하면 됩니다. 의문사에는 When, why, where, how 등등이 있는데요. 이걸 추가하면 돼요 When were..
부가 의문문 뜻, 개념, 규칙! 어떻게 만들어질까 [영어문법풀이 #69]
부가 의문문 뜻, 개념, 규칙! 어떻게 만들어질까 [영어문법풀이 #69]
2021.03.08지난 시간에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의문문을 조금 더 변형한 부가 의문문이라는 걸 알아보려고 해요 부가 의문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가적으로 붙는 의문 문장이에요 그래서 문장에 더해 부가적인 의문 문장이 추가되는 형태로 총 2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집니다. 우리도 무언가에 대한 물음을 표현할 때 야, 이거 별로다, 그치? 걔 웃기다, 아니야? 이런 식으로 어떤 말을 한 후에, 한 번 더 그치? 아니야? 맞지? 그렇지? 등등 확인 차 물어보는 걸 부가 의문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맞다 아니다의 대답을 끌어내기 때문에 Yes or No로 대답하게 됩니다. 영어에서는 부가 의문문을 Tag Question이라고 해요 Tag, 옷에 붙이 있는 그런 택 꼬리표 또는 SNS에 친구를 태그하기도 ..
의문문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개념과 원리, 뜻 [영어문법풀이 #68]
의문문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개념과 원리, 뜻 [영어문법풀이 #68]
2021.02.26지난 시간엔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의문문은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질문이나 요구 등을 할 수도 있죠. 의문문은 문장을 만들 때 구조가 조금 바뀌게 되는데요. 지난 시간에 다룬 부정문과 그 개념이 비슷한 부분이 있어요. 부정문을 만들 때 일반 동사는 스스로 부정 의미로 변형할 수 없어서 조동사 단어가 필요하다고 했었습니다. 반면에 Be 동사는 조동사에 속하기도 하는 단어라서 따로 do 등의 조동사가 필요 없다고 했었죠. 의문문도 마찬가집니다. 일반 동사가 쓰인 문장을 의문문으로 바꿀 때는 do 등의 조동사가 필요하지만 Be 동사가 쓰인 문장, 조동사가 쓰인 문장은 따로 다른 단어가 굳이 필요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You love it. 넌 ..
부정문장 만들어지는 원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67]
부정문장 만들어지는 원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67]
2021.02.18지난 시간엔 다뤘던 문장 외에도 문장 이름은 더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동안 저와 함께 공부하면서 한 번씩 보게 됐던 부정문도 있고 수동문도 있고 조건문 또는 가정하는 문장 등등 많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엔 먼저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해보겠습니다. 부정문, 부정, 한자어죠. 부 - 아닐 부 / 정 - 바를 정 맞지 않거나, 어떤 기준에 반대한다는 의미죠. 예를 들어서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이다. 이런 일반 문장이 있다고 할 때 이에 반대되는 말은 나는 학생이 아니다. 입니다. 학생이 아니라고 부정을 하는 거예요. 이때 이 문장에 어느 단어 하나를 추가해서 부정 의미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그런데 이 문장을 보면 I, 주어 / am, 동사 / a student, 보어 2형..
영어 문장은 어떻게 구성될까? 기본 문장 종류! [영어문법풀이 #66]
영어 문장은 어떻게 구성될까? 기본 문장 종류! [영어문법풀이 #66]
2021.02.09이번 시간엔 문장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해볼게요. 영어 문장을 보면 공통점 있죠. 한글은 문장이 시작될 때 별 다른 점이 없지만 영어 문장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문장은 구두점으로 마무리가 되죠. *구두점 글을 마치거나 쉴 때 찍는 마침표와 쉼표로 온점, 물음표, 느낌표 또는 세미 콜론 등으로 표현됩니다. 구두점에 대한 내용은 다다음 영상 #68에서 다루도록 해볼게요. 만약 문장에 대문자가 없고, 구두점(문장 마무리 표시)이 없다면 문장의 시작과 끝을 알 수가 없습니다. 또 문장이라고 하면 이런 기본 요소들을 넘어, 하나의 완성된 문장은 완전한 생각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어떤 내용인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단순..
구/절 + 완전한절, 불완전한절, 종속절, 의존절, 주절, 숙어구, 관용어구 [영어문법풀이 #65]
구/절 + 완전한절, 불완전한절, 종속절, 의존절, 주절, 숙어구, 관용어구 [영어문법풀이 #65]
2021.01.23지난 시간에 글자 – 단어 – 구 - 절 - 문장 – 단락 – (완성된)글 – 의미 전달 에 대한 내용을 다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영어 공부하면서 많이 다루게 될 개념인 ‘구, 절, 문장’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볼 거예요. 이 내용 보시기 전에 바로 전 영상 #64을 참고하시고 오시면 도움이 더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 내용은 문법풀이 #8. 구&절에서 살짝 다루기도 했던 개념이기도 한데요. 그래서 #8도 참고하고 오시면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구라는 것은, 최소한 단어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사전 의미로 보면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문장의 일부분을 이루는 토막’ 이라고 나와있어요 문장에서 ‘구’는 문장 안에서의 하나의 구역..
영어 문장 구조 해부하기 - 알파벳, 단어, 구, 절, 문장, 문단, 글, 의미 [영어문법풀이 #64]
영어 문장 구조 해부하기 - 알파벳, 단어, 구, 절, 문장, 문단, 글, 의미 [영어문법풀이 #64]
2020.12.23이번 시간부터는 영어 문장에 대해서 하나씩 풀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문장이란 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거고 문장을 통해 또 어떤 형태가 만들어지고 표현되는지 간단하게 알아볼게요 우리에겐 한글이란 문자가 있죠. 세종대왕님께서 만드신 글자로 당시에는 훈민정음이라 불렀습니다. 1. 영어에는 알파벳이란 문자가 있어요. - a, b, c, d, e, f, g, ~ 총 26개로 자음과 모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대문자, 소문자로 구분하기도 하면서 표현되기도 하죠. 2. 알파벳의 글자를 조합해서 단어를 만들게 되고(영어 단어) 3. 단어를 조합해서 하나의 구를 만들 수 있고 4. ‘구’에 단어를 더 조합해서 절을 만들 수 있고 5. 절 자체만으로 문장이 되기도 하고 또는 절을 여러 개 연결해서 문장을 만들 수..
준조동사 ought, need, dare, used to, 뜻과 개념 [영어 문법 풀이 #63]
준조동사 ought, need, dare, used to, 뜻과 개념 [영어 문법 풀이 #63]
2020.12.14지난 시간까지 조동사, Auxiliary, Modal, Linking, Helping Verb 로 불리는 단어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준조동사라고 불리는 단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해볼게요. 준조동사라는 이름, 조동사 앞에 있는 이 ‘준’ 이 단어는 여러 단어에서 많이 봤었죠. 준동사 / 준사역 동사 라는 단어에도 붙어있었습니다 이 ‘준’은 뭔가 100%가 아닐 때 붙이곤 합니다 준동사는 동사는 아니지만 동사 의미를 가지는 단어를 말하고 준사역 동사는 사역 동사와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단어를 언급할 때 이렇게 부르곤 합니다. 근데 준사역 동사라는 건 없고 사역 동사만 있다라고 #49에서 언급했는데요 궁금하신 분은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이 준조동사라는 단어, 이 단어 이름에서 알..
Linking Verb와 Helping Verb, 조동사, 일반 동사 알아보기 [영어 문법풀이 #62]
Linking Verb와 Helping Verb, 조동사, 일반 동사 알아보기 [영어 문법풀이 #62]
2020.11.03지난 시간까지 조동사에 대해 전반적으로 어떤 개념인지 그리고 문장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식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내용을 조금 정리하면서 자잘한 내용도 추가적으로 알려드리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지난 영상까지 조동사라 불리는 단어 중에서 잘 알려진 Auxiliary Verb와 Modal Verb를 중점적으로 다뤘었죠. 이 조동사라는 건 종류가 세세하게 나뉘어집니다. 사실 Auxiliary Verb는 모든 조동사를 아우릅니다 Auxiliary Verb 범주 안에 Modal Verb가 속하기도 하고 이 외에도 Linking verb, 연결 동사 / Helping Verb, 도와주는 동사라고 불리는 단어들도 있어요. 하지만 이 단어들도 다 Auxiliary verb에 속해서 Auxili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