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준동사뜻
반응형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2020.02.12지난 시간엔 동명사와 현재 분사의 모습이 똑같은데 언제 어떻게 다르게 쓰이는지 알아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동명사와 to 부정사를 비교해볼게요. 둘 다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이지만 생김새는 다릅니다. 동명사는 동사 뒤에 ing를 붙인 준동사고 to 부정사는 동사 앞에 to를 붙인 준동사입니다. 그리고 동명사는 명사로만 쓰이지만 To 부정사는 명사/형용사/부사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쓰일 수 있죠. 그런데 이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죠. 바로 명사로 쓰이는 것. to 부정사가 명사로 쓰일 때와 그리고 명사로 쓰이는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가 올 수 있는 자리인 주어 / 목적어 / 보어 자리 /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Travel, 여행하다 이 동사 단어를 각각 준동사로 변형하면 동명사 ..
준동사의 개념, 뜻, 존재 이유(verbid) [영어문법풀이 #29]
준동사의 개념, 뜻, 존재 이유(verbid) [영어문법풀이 #29]
2019.07.03동사는 주어의 활동 (육체 활동, 정신 활동)을 표현해주죠. 그 활동을 표현해줄 때 그 활동이 일어나는 시기인 시제도 표현해줍니다. 그리고 ‘한 문장에는 동사가 하나’ 라는 말이 있습니다. 일단 한 문장에는 주어가 하나밖에 없습니다. 동시에 주어의 활동을 표현해주는 짝꿍인 동사도 하나만 있을 수 있죠. 그런데 우리는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동사 의미가 2개 이상 필요할 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서 ‘선생님께서 내가 집에 가도 된다고 허락하셨다.’ 라는 문장이 있어요. 이 문장에서 주어는 선생님입니다. 그럼 짝꿍인 동사는 뭘까요? 선생님이 하신 활동(행동)인 동사는 바로 허락하신 거죠. 그리고 뭘 허락했나요? ‘내가 집에 가는 것 여기서 ‘가다’ 이것도 육체 활동을 표현하는 동사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