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능동태
반응형
1형식, 2형식 문장에서의 수동태, 능동태 전환 [영어문법풀이 #80]
1형식, 2형식 문장에서의 수동태, 능동태 전환 [영어문법풀이 #80]
2021.07.07지난 시간까지 능동 문장을 수동 문장으로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그 모습은 어떻게 생겼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봤습니다. #78 ~ 79에서는 3~5형식, 그리고 사역, 지각 동사가 쓰였을 때의 모습을 알아봤는데요 이번 시간엔 1~2형식에선 어떤 모습인지 간단히 보도록 해볼게요. 일단 수동태는 be + p.p 구조를 가지고 있죠. 이걸 1~2 형식 문장에 적용해서 문장을 바꿔보는 걸 알아볼 거예요. 그런데 일단 1,2 형식 문장은 3~5형식 문장과 많이 다릅니다. 1, 2 형식에는 목적어가 없습니다. 지칭할 수 있는 대상이 오직 ‘주어’ 하나밖에 없죠. 반면에 3, 4, 5형식 문장은 목적어가 있습니다.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에 의해 당하는 대상이 목적어입니다. 3, 4, 5형식 문장..
능동태 문장 수동태로 전환 방법 - 3, 4, 5형식 문장 [영어문법풀이 #78]
능동태 문장 수동태로 전환 방법 - 3, 4, 5형식 문장 [영어문법풀이 #78]
2021.06.29이번 시간엔 능동과 수동 문장을 바꾸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수동태에 대한 내용은 #74~77에서 했으니까요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실생활에서는 굳이 문장 구조를 능동태에서 수동태로 수동태에서 능동태로 바꾸진 않죠 그냥 상황에 따라 능동, 수동으로 표현을 자연스럽게 하곤 합니다. 그런데 학교 시험에는 개념을 위해서 등장을 하는 것 같은데요 그래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볼게요. 일단 능동이라면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고 수동이라면 주어가 어떤 행동을 당하는 것이죠. 능동문을 기준으로 보도록 해볼게요. 능동 문장은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어요. 주어가 자발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는 것과 주어가 어느 대상에게 어떤 행동을 하는 것 대상이 있느냐 없느냐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