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o부정사명사
반응형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준동사인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차이, 뜻/의미 [영어 문법 풀이 #47]
2020.02.12지난 시간엔 동명사와 현재 분사의 모습이 똑같은데 언제 어떻게 다르게 쓰이는지 알아봤었습니다. 이번 시간엔 동명사와 to 부정사를 비교해볼게요. 둘 다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이지만 생김새는 다릅니다. 동명사는 동사 뒤에 ing를 붙인 준동사고 to 부정사는 동사 앞에 to를 붙인 준동사입니다. 그리고 동명사는 명사로만 쓰이지만 To 부정사는 명사/형용사/부사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쓰일 수 있죠. 그런데 이 부분에서 공통점이 있죠. 바로 명사로 쓰이는 것. to 부정사가 명사로 쓰일 때와 그리고 명사로 쓰이는 동명사는 문장에서 명사가 올 수 있는 자리인 주어 / 목적어 / 보어 자리 /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Travel, 여행하다 이 동사 단어를 각각 준동사로 변형하면 동명사 ..
Be To 용법의 의미, 뜻, 개념 언제 사용할까 [영어 문법 풀이 #34]
Be To 용법의 의미, 뜻, 개념 언제 사용할까 [영어 문법 풀이 #34]
2019.08.23이번 시간엔 to 부정사 중에서 be to 용법이라는 거를 다뤄보려고 해요. be to에서 be는 be 동사를 말하는 거고 to 는 to + 동사 원형 to 부정사를 말하는 거죠. 결국 be 동사 + to 부정사를 말하는 겁니다. be 동사는 문장의 형식으로 보면 1형식 자동사로도 쓰이기도 하지만 2형식 문장에서 더 많이 쓰입니다. 만약 1형식 문장에 be 동사가 쓰인다면 주어 + 동사로 끝나기 때문에 주어 + be 동사 뒤에 to 부정사가 온다면 그 to 부정사는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부사 역할을 하게 될 겁니다. 2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보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문장이 ‘주어 + be 동사 + to 부정사’라면 to 부정사는 보어 역할을 하는 거겠죠. to 부정사가 명사, 형용사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