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astparticiple
반응형
과거 분사의 뜻과 개념 그리고 시제와 수동 표현 [영어 문법 풀이 #41]
과거 분사의 뜻과 개념 그리고 시제와 수동 표현 [영어 문법 풀이 #41]
2019.11.09과거 분사 지난 시간엔 현재 분사에 대한 개념을 짚어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과거 분사에 대해서 알아볼 거예요. 과거 분사도 현재 분사와 마찬가지로 동사를 변형한 준동사로 형용사 역할을 하게 됩니다. 동사의 의미를 가진 형용사로 쓰이는 거죠. 현재 분사는 동사에 ing를 붙였다면 과거 분사는 동사에 ed를 붙인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하지만 동사에 무조건 ed만 붙이는 게 아닙니다. 과거 분사는 동사에 따라서 d / ed / ied 형태가 되기도하고 불규칙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문법풀이 #27을 확인하시면 되는데요. #24~28 다 확인하시면 전반적으로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동사를 이렇게 분사로 바꿔서 표현하는 이유는 동사 자체로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
동사의 과거 분사 규칙 (past participle, p.p) [영어 문법 풀이 #27]
동사의 과거 분사 규칙 (past participle, p.p) [영어 문법 풀이 #27]
2019.06.23이번 시간엔 동사의 과거형과 비슷한 과거 분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동사를 왜 과거 분사형으로 만드는 걸까요? 그 이유는 동사 그 자체로는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시제에는 동사의 현재형 과거 시제에는 동사의 과거형 그런데 완료 시제를 표현할 때는 동사로는 그 시간을 표현할 수 없어서 동사를 과거 분사형으로 만들게 돼요. 그리고 동사 그 자체로는 능동 표현밖에 못하는데요 be 동사와 과거 분사(p.p)가 함께 쓰이면서 수동태를 표현할 수도 있죠. 일단 과거 분사는 동사가 아닙니다. 동사를 변형시킨 준동사 중 하나로 동사의 기능은 하지만 형용사로 쓰입니다. 이제 동사가 어떤 식으로 과거 분사형이 되는지 볼게요. 우선 동사를 과거형으로 만들 때는 나름의 규칙이 있었습니다. 그냥 ed를 붙이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