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능동수동전환
반응형
사역동사, 지각동사 문장 능동태 수동태 전환 하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9]
사역동사, 지각동사 문장 능동태 수동태 전환 하는 방법 [영어문법풀이 #79]
2021.07.05지난 영상에서 능동-수동 전환에 대한 내용을 다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5형식 문장에서 사역, 지각 의미의 동사가 쓰였을 때 수동으로 어떻게 바뀌는지 알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일단 문장을 능동 문장을 수동 문장으로 바꾼다는 것은 문장에서 주체가 바뀌는 거라고 했습니다. 어느 한 상황에서 주어가 능동적으로 무언가를 했다면 반대로 무언가에 당하는 대상이 있을 텐데 그 대상이 문장에서 주어가 된다면 당하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수동태를 써야 하는 거죠. 이 내용에 대해 아직 잘 모르시는 분은 지난 영상 #78를 참고하고 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5형식 문장에서 사역, 지각 의미 동사가 쓰이는 상황에서 어떻게 수동태 구조로 바뀔 수 있는지 알아볼 건데요. 일단 5형식 문장은 주어 + 동사 +..
능동태 문장 수동태로 전환 방법 - 3, 4, 5형식 문장 [영어문법풀이 #78]
능동태 문장 수동태로 전환 방법 - 3, 4, 5형식 문장 [영어문법풀이 #78]
2021.06.29이번 시간엔 능동과 수동 문장을 바꾸는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수동태에 대한 내용은 #74~77에서 했으니까요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실생활에서는 굳이 문장 구조를 능동태에서 수동태로 수동태에서 능동태로 바꾸진 않죠 그냥 상황에 따라 능동, 수동으로 표현을 자연스럽게 하곤 합니다. 그런데 학교 시험에는 개념을 위해서 등장을 하는 것 같은데요 그래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볼게요. 일단 능동이라면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고 수동이라면 주어가 어떤 행동을 당하는 것이죠. 능동문을 기준으로 보도록 해볼게요. 능동 문장은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어요. 주어가 자발적으로 어떤 행동을 하는 것과 주어가 어느 대상에게 어떤 행동을 하는 것 대상이 있느냐 없느냐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