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동일치
반응형
주어 동사 일치 - 수일치/주동일치, 3인칭 주어일 때 단수 동사 [영어문법풀이 #14]
주어 동사 일치 - 수일치/주동일치, 3인칭 주어일 때 단수 동사 [영어문법풀이 #14]
2019.03.20한 문장 안에는 기본적으로 주어와 동사가 항상 존재합니다. 명령문에서도 원래는 주어가 있는 건데 주어를 생략한 거 뿐이죠. 그래서 주어와 동사는 짝꿍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돼요. 주어의 정신 활동이나 육체활동을 표현해주는 게 바로 동사니까요. 수일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숫자를 일치 시킨다는 뜻인데요 어떤 숫자를 일치 시키냐 하면 주어를 보고 동사의 모습을 결정짓는 거예요. 주어가 하나인지 아닌지 그 수를 보고 동사의 모습을 정한다고 수를 일치시킨다고해서 '수일치' 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그리고 그래서 주어와 동사를 일치시킨다고 '주동일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주어에 따라서 동사의 모습이 조금 변하게 되는데요. 변하게 되는 경우는 딱 하나? 라고 하기에는 좀 아니지만 하나의 계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