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어의문문
반응형
의문문(+의문사)에 대한 대답을 하는 방법과 규칙 [영어문법풀이 #73]
의문문(+의문사)에 대한 대답을 하는 방법과 규칙 [영어문법풀이 #73]
2021.03.27문법풀이 #68 ~ 72까지 의문문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이번 시간엔 그 의문문에 대한 대답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도록 해볼거예요. 일단 기본적으로 물음에 대한 대답은 국어와 조금 다릅니다. 우리는 무언가 물어봤을 때, 그 질문에 대한 기준으로 예, 아니오를 정하게 되는데 영어는 행동을 기반으로 예, 아니오를 정하게 돼요. 무슨 말이냐면 예를 들어서 너 밥 먹었어? 라고 물어보면 응 먹었어 / 아니 안 먹었어. 이렇게 대답하고 너 밥 안 먹었어? 라고 물어보면 아니 먹었어 / 응 안 먹었어. 이런 식으로 대답을 합니다. 질문이 긍정문인지 부정문인지에 따라서 대답이 예, 아니오가 결정이 되죠. 그런데 영어는 질문의 긍정, 부정은 상관없이 대답하는 사람의 상황 기준으로 대답을 해요. 예를 들..
의문문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개념과 원리, 뜻 [영어문법풀이 #68]
의문문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개념과 원리, 뜻 [영어문법풀이 #68]
2021.02.26지난 시간엔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의문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의문문은 물어보는 문장입니다. 질문이나 요구 등을 할 수도 있죠. 의문문은 문장을 만들 때 구조가 조금 바뀌게 되는데요. 지난 시간에 다룬 부정문과 그 개념이 비슷한 부분이 있어요. 부정문을 만들 때 일반 동사는 스스로 부정 의미로 변형할 수 없어서 조동사 단어가 필요하다고 했었습니다. 반면에 Be 동사는 조동사에 속하기도 하는 단어라서 따로 do 등의 조동사가 필요 없다고 했었죠. 의문문도 마찬가집니다. 일반 동사가 쓰인 문장을 의문문으로 바꿀 때는 do 등의 조동사가 필요하지만 Be 동사가 쓰인 문장, 조동사가 쓰인 문장은 따로 다른 단어가 굳이 필요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You love it. 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