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정문
반응형
부정문장 만들어지는 원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67]
부정문장 만들어지는 원리 뜻, 개념 [영어문법풀이 #67]
2021.02.18지난 시간엔 다뤘던 문장 외에도 문장 이름은 더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동안 저와 함께 공부하면서 한 번씩 보게 됐던 부정문도 있고 수동문도 있고 조건문 또는 가정하는 문장 등등 많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엔 먼저 부정문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해보겠습니다. 부정문, 부정, 한자어죠. 부 - 아닐 부 / 정 - 바를 정 맞지 않거나, 어떤 기준에 반대한다는 의미죠. 예를 들어서 I am a student. 나는 학생이다. 이런 일반 문장이 있다고 할 때 이에 반대되는 말은 나는 학생이 아니다. 입니다. 학생이 아니라고 부정을 하는 거예요. 이때 이 문장에 어느 단어 하나를 추가해서 부정 의미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그런데 이 문장을 보면 I, 주어 / am, 동사 / a student, 보어 2형..
조동사 Modal Verb를 활용한 12시제와 부정, 의문, 수동문 [영어 문법 풀이 #61]
조동사 Modal Verb를 활용한 12시제와 부정, 의문, 수동문 [영어 문법 풀이 #61]
2020.10.27지난 시간에 Modal Verb에 대한 내용을 다뤄봤습니다. 이번 시간엔 그 Modal Verb를 다양한 시제와 다양한 문장에 접목시켜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 거예요. 일단 이 내용을 보기 전에 #57~60 참고하고 오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앞 영상들과 중복되는 게 많아서 대략적으로 간단하게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영어에는 12가지 시제가 있어요. 과거/현재/미래 시제 그리고 여기에 진행/완료/완료진행을 결합해서 12가지 시제가 되죠. 조동사 Modal Verb를 가지고 12가지 시제를 만들 수가 있는데요 조동사도 동사라서 과거형, 현재형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미래 시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will이 쓰이곤 하죠. 그래서 You go. 너는 간다. 이 일반 문장에 조동사를 추가하면..